'군함도' 뒤통수 잊었나? 日 사도광산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韓 '미온적'



일본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것과 관련하여, 한국 시민사회에서는 정부의 외교적 대응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일본은 사도광산에서 '강제동원'이라는 표현 대신 '한반도 출신 노동자'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한국 정부가 이에 동의한 것이 일본의 역사 부정을 수용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는 2018년 강제동원 관련 대법원 판결 이후 일본이 강제성을 희석하기 위해 만든 표현을 사용한 것으로, 한국 정부가 일본의 입장을 묵인한 셈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일본은 사도광산 인근에 조선인 노동자에 대한 전시물을 설치하고, 매년 추도식을 개최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전시물에는 '강제동원'이라는 표현이 빠져있다. 또한, 세계유산 등재 이후 일본 고위급 인사들의 발언에서도 강제동원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전문가들은 일본이 강제동원 피해를 합법적인 징용으로 묘사하려는 의도가 있으며, 한국 정부가 이에 대해 충분히 대응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2015년 군함도 세계유산 등재 당시 일본이 약속을 지키지 않았던 사례를 들어, 사도광산에서도 같은 문제가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일본의 역사 부정이 반복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의 기본 정신이 훼손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